모두야
파이썬 [Code up] - 논리연산/3항연산/반복문 본문
728x90
반응형
논리연산
and or xor
not A and B = not(A or B)
# 6054
둘 다 True 일 경우에만 True 를 출력하고, 그 외의 경우에는 False 를 출력한다.
bool 이용하기
print(bool(int(a) and bool(int(b))))
비트단위 논리연산
~ (2의 보수not)
& ( and )
| ( or )
^ ( xor )
<< ( left shift )
>> ( right shift )
#6059
1은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1 이고,
~1은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0 가 되는데 이는 -2
# 비트 단위로 1 -> 0, 0 -> 1로 바꾼 후 그 값을 10진수로 출력
a=int(input())
print(~a)
3항 연산
# 6063, 6064
3개의 요소로 이루어지는 3항 연산은
"x if C else y" 의 형태로 작성이 된다.
- C : True 또는 False 를 평가할 조건식(conditional expression) 또는 값
- x : C의 평가 결과가 True 일 때 사용할 값
- y : C의 평가 결과가 True 가 아닐 때 사용할 값
조건식 또는 값이 True 이면 x 값이 사용되고, True가 아니면 y 값이 사용되도록 하는 코드
print(a if (a>=b) else b) # a>=b 일때 a 출력, 틀리면 b
# a,b,c 중 가장 큰 값 출력
(a if a>b else b) if ((a if a>b else b)>c) else c
# 1. if ((a if a>b else b)>c)
# () 에서 나온 값과 c를 비교했을 때
# 2. else c
# ()가 크면 ()값 출력/ c가 크면 c 출력
# 3. (a if a>b else b)
# a>b이면 a, 아니면 b
반복문
# 6072
while 조건문:
- 조건문이 참일때 밑에 식이 작동한다.
- 거짓이게 되면 멈춘다.
n = int(input())
while n>0:
print(n)
n -=1
# 6074 ★★★
영문자 1개가 입력된다.
a부터 입력한 문자까지 순서대로 공백을 두고 한 줄로 출력한다.
728x90
반응형
'study > Python_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FS/BFS(그래프탐색) (0) | 2021.05.12 |
---|---|
순차탐색/이진탐색 (0) | 2021.05.06 |
Conda 가상환경 만들기 (0) | 2021.03.10 |
파이썬 [Code up] - 출력변환/산술연산/비교연산 (0) | 2021.03.09 |
자료구조 - 연결 리스트 (0) | 2021.03.03 |